1. 세계 경제 성장률
KIEP는 2023년 세계경제 성장률 전망치를 종전 전망치 대비 0.2%p 상향 조정하여 2.6%로 전망합니다. 또한 2024년 세계경제 성장률은 3.0%로 전망했습니다.
2023년 하반기 세계경제는 ‘더딘 복원을 향한 협소한 통로’를 지날 것으로 예상됩니다. 이는 다음의 요인을 원인으로 합니다.
- 금융불 안과 신용긴축에 따른 장기침체 경로.
- 이슈별 이합집산과 글로벌 정책공조 약화.
- 하방압력이 상방요인보다 높는 공급망 다각화와 내수 전환 과정에서의 중국 리스크.
2. 주요 선진국
주요 선진국에서는 여전히 높은 핵심물가와 고금리에 따른 신용위축이 경제활동 둔화를 상당 기간 야기할 것으로 예상되며, 이후 회복세도 매우 더디게 진행될 것으로 전망됩니다.
1) 미국
미국은 견조한 고용시장과 정점을 지난 물가상승률 등의 긍정적 요인이 있으나 다음의 요인 때문에 하반기부터 둔화되어 1.2%의 성장율을 기록할 것으로 보입니다.
- 금융권의 타이트한 신 용 여건
- 여전히 높은 수준에서 유지될 정책금리
- 경직적인 서비스물가 수준
- 부진한 투자 및 산업활동
2) 유로 지역과 영국
유로 지역과 영국은 여전히 높은 근원물가와 유럽중앙은행 및 영란은행의 매파적 대응으로 구매력 회복 이 늦어지면서 각각 연간 0.8%와 -0.2%를 기록할 전망됩니다.
3) 일본
일본은 정부지원책에 따라 물가가 안정되고 인금인상을 기반으로 소비 회복세가 나타나며, 중국발 인바운드 관광 회복도 기대되는 등 내수부문을 중심으로 연간 1.4% 성장할 것으로 전망됩니다.
3. 신흥국
신흥국들은 선진국 대비 높은 물가 수준과 대외수요의 둔화에 따라 성장률 전망이 종전 대비 낮아졌으며, 중국은 리오프닝 및 정책 효과로 내수 중심의 성장이 전망되어 상향 조정될 것으로 보입니다.
1) 중국
- 리오프닝에 따른 경제활동 재개
- 정부의 내수 활성화 정책
- 2022년 3.0%의 낮은 성장률 대비 기저효과
- 이상의 원인으로 정부가 제시한 ‘5% 내외’ 경제성장 목표보다 높은 연간 5.5%를 기록할 것으로 전망됩니다.
2) 인도
- 대외수요 감소
- 글로벌 가치사슬 불안 고조
- 원자재 가격 변동
- 물가상승 등에 따른 국내경기 둔화 및 경상수지 적자 확대가 해외직접투자 유입 호조를 상쇄
- 이상의 요인으로 연간 5.2%를 기록할 전망임.
3) 아세안 5개국
아세안 5개국은 중국의 리오프닝(re-opening)에 따른 상방요인과 글로벌 경제성장 둔화 및 고물가 부담 이 상충된 방향으로 작용하면서 연간 4.7% 성장할 것으로 전망됩니다.
4) 러시아
러시아는 2022년 -2.1% 역성장에 대한 기저효과 및 제한적인 수준에서의 소비와 순수출의 기여로 양(+) 의 성장을 기록하며 연간 0.5%를 나타낼 전망임.
5) 브라질
브라질은 중국의 제로코로나 정책 종료에 따른 수혜를 입을 것으로 보이지만, 높은 금리에 따른 경제활동 위축과 미국, 유럽 시장의 부진으로 인해 연간 1.0% 성장할 것으로 전망함.
'세계 경제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알기 쉬운 7월 경제 동향 - KDI (0) | 2023.07.21 |
---|---|
2023 7월 12일 국내 증시 동향 뉴스 스크랩 (0) | 2023.07.13 |
7월 12일 미국 한국 아시아 증시 동향 (2) | 2023.07.12 |
테슬라의 사업과 비전 - 자동차, 에너지, 우주 (0) | 2023.07.11 |
7월 10일 세계 경제 동향 (0) | 2023.07.11 |